본문 바로가기
음악

고전시대 실내악<피아노 소나타, 현악 앙상블>

by *%^&$! 2022. 6. 23.
반응형

고전시대의 실내악은 실내에서 연주할 정도로 소규모 편성의 음악을 말합니다. 이 음악은 반드시 기악만을 염두한 둔 용어가 아닌 대규모의 반대말로 소규모 기악음악이라는 의미로 쓰인 것입니다. 고전시대에는 피아노 소나타가 나타났으며 현악기 중심의 삼중주, 사중주와 피아노 반주가 있는 독주 악기 편성 등이 실내악으로 연주되기도 했습니다.

 

고전시대 실내악 :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는 대표적인 고전시대 악기로 18세기 후반에 주목을 받았습니다. 피아노는 크리스토포리가 18세기 초에 만든 악기로 망치로 줄을 섬세하고 강하게 쳐서 소리 내도록 만든 악기입니다. 피아노는 여리고 센 음을 모두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악기여서 처음에 피아노 명칭은 피아노 포르테였으나 후에 피아노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피아노 소나타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피아노 소나타의 악장 구성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피아노 소나타의 악장 구성은 빠름, 느림, 빠름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바로크 시대의 실내 소나타 구소와 유사합니다. 이러한 음악 방식은 다른 장르에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빠른 악장은 보통 소나타 형식의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 기악곡에는 빠르고 느린 악장들 외에 다른 악장으로 미뉴에트와 같은 춤곡 악장이 추가되기도 하였습니다. 미뉴에트는 2악장이나 3악장에 주로 사용되어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있는데 그중 모차르트는 하이든의 영향을 받아 밝고 경쾌한 선율의 곡을 많이 작곡하였고 베토벤은 피아노의 역량을 극대화하려는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서는 극단적인 음향 대비와 진지함, 무거움 등을 음악에서 표현하였습니다.

 

고전시대의 실내악 : 현악앙상블

현악앙상블에는 이중주, 삼중주, 사중주 등이 있습니다. 이중주는 두 개의 악기가 함께 연주되는 것인데 처음에는 간단한 독주 선율 악기가 주 선율을 연주하고 건반악기가 반주를 하는 역할을 했지만 후에는 건반악기 위상이 강화되며 각 악기가 독주적 성부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이중주로는 바이올린 소나타가 있습니다. 모차르트 초기 바이올린 소나타는 한 악기에 치중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모차르트 후기 바이올린 소나타에서는 건반악기와 바이올린 두 악기의 협력이 긴밀해지고 폴리포니적인 성부 분배를 보입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역시 두 악기가 대등한 관계에서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하였습니다. 대표적인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로는 <봄>, <크로이쳐>등이 잇습니다. 고전시대 이중주의 특징 중 하나는 첼로의 역할이 돋보였다는 점입니다. 이전에는 첼로가 계속 저음을 내는 악기였지만 이 시기부터는 첼로의 역할이 확장되어 악기 고유의 성격을 표출하게 되었습니다.

 

고전시대의 삼중주는 주로 피아노 삼중주 또는 현악 삼중주를 말합니다. 피아노 삼중주의 악기 구성은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입니다. 이는 바로크 시대 트리오 소나타 편성을 이어가는 것으로 초기에는 반주를 가진 피아노 소나타와 유사했지만 후에 피아노 소나타에서 오른손 부분을 바이올린이 연주하고 오른손 부분을 첼로가 함께 연주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베토벤은 각 악기가 더욱 독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작곡하였습니다.

현악 삼중주의 악기 구성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보편적이었습니다. 건반악기를 제외하고 보다 긴밀한 음악적 짜임새를 보여 주었으나 현악 사중주에 비해 많이 연주되지는 못하였습니다.

 

고전시대의 현악사중주는 이 시대의 대표적인 실내악 장르입니다. 현악사중주의 구성은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구성은 안정적인 음악적 짜임새를 구성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구성으로 필수적 4 성부 체제가 자리 잡게 되었고 기악음악의 유기성이 자리 잡혔습니다. 이러한 4 성부 체제의 음향이 고전시대의 음악적 이상을 실현하게 해 주며 교향곡 등 다른 매체에서도 표현되었습니다.

하이든은 현악사중주를 하나의 장르로 정착하게 한 인물입니다. 초기에는 현악사중주를 카사치온이라고 불렀다가 후에 디베르티멘도 그 후 현악사중주가 되었습니다. 디베르티멘토라는 것은 오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저녁에 실내에서 즐기는 음악이었기에 이런 말로 불리어졌습니다. 하이든은 현악 사중주에 주제 동기 가공 작업이라는 방법을 활용하여 현악사중주가 보다 짜임새 있고 조직력 있게 움직이도록 작곡하였습니다.

모차르트의 대표적인 현악사중주로는 <비엔나 사중주>, <사냥 사중주>, 하이든에게 헌정한 <하이든 사중주> 등이 있습니다. 하이든 사중주는 하이든의 사중주와 유사하지만 하이든은 스케르초를 사용하는 반면 모차르트는 미뉴에트를 하나의 악장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베토벤의 초기 현악사중주는 모차르트와 하이든과 유사했습니다. 중기 현악사중주는 오케스트라적 역동성이 현악사중주에 나타나며 내적 사고를 요구하는 불규칙성이 나타나고 불협화 화성이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하프 사중주>가 있습니다. 후기 현악사중주는 난해하고 도전적인 음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악장 수 배열에 규칙성이 없으며 화성 구조, 셈여림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푸가적 진행도 음악에 나타났습니다.

반응형

댓글